본문 바로가기

Java의 정석

객체 지향 개념 - 6 반환값, 호출스택

반환값

return문의 반환 값으로 주로 변수가 오긴 하지만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님.

int add(int x, int y) {
    return x + y;
}

위의 코드에서는 수식을 계산한 결과가 반환됨.

 

inf diff(int x, int y) {
    return abs(x-y);
}

메서드 그 자체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고 abs 메서드를 호출하고 그 반환 타입이 int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가능함.

 

호출스택

호출 스택은 메서드의 작업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제공한다. 메서드가 호출되면, 호출 스택에 호출된 메서드를 위한 메모리가 할당되며, 이 메모리는 메서드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지역변수(매개변수 포함)들과 연산의 중간 결과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메서드가 작업을 마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 공간은 반환되어 비어진다.

 

class callSta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
}

위의 callStack class를 실행시키면 JVM에 의해서 main 메서드가 호출됨으로써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1.  호출 스택에는 main 메서드를 위한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고 main 메서드의 코드가 수행되기 시작한다.
  2. main 메서드에서 println()을 호출하며 main 메서드가 끝난 것은 아니므로 main 메서드는 호출 스택에 대기상태로 남고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며 println()의 수행이 시작된다.
  3. println() 메서드에 의해 "Hello"가 화면에 출력되며 수행이 완료되어 호출 스택에서 사라지고 자신을 호출한 main 메서드로 되돌아가 대기 중이던 main 메서드는 println()을 호출한 이후부터 수행을 재개한다.
  4. main 메서드에도 더 이상 수행할 코드가 없으므로 종료되어, 호출 스택은 완전히 비워지게 되고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호출 스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메서드가 호출되면 수행에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스택에 할당받는다.
  • 메서드가 수행을 마치고 나면 사용했던 메모리를 반환하고 스택에서 제거된다.
  • 호출 스택의 제일 위에 있는 메서드가 현재 실행 중인 메서드이다.
  • 아래에 있는 메서드가 바로 위의 메서드를 호출한 메서드이다.

반환 값이 있는 메서드는 종료되면서 결괏값을 자신을 호출한 메서드에게 반환한다. 대기상태에 있던 호출한 메서드는 넘겨받은 반환 값으로 수행을 계속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