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서드
메서드란?
-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 어떤 값을 입력받아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돌려줌(입력받는 값이 없을 수도 있고 결과를 돌려주지 않을 수도 있다.)
메서드의 장점과 작성지침
- 반복적인 코드를 줄이고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여러 문장을 메서드로 작성한다.
- 하나의 메서드는 한 가지 기능만 수행하도록 작성하자.
- 관련된 여러 문장을 메서드로 작성한다.
메서드를 정의하는 방법
메서드는 클래스 영역에만 정의할 수 있다.
class Cal {
리턴타입 메서드이름 (타입 변수명, ...) {
메서드 호출시 수행될 코드
}
int add(int a, int b) {
int result = a + b;
return result;
}
void power() {
power = !power;
}
반환 값이 없는 경우 void를 사용함
return문
메서드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 메서드의 블록{}의 끝에 도달하거나 수행 도중 return문을 만났을 때
return문
현재 실행 중인 메서드를 종료하고 호출한 메서드로 되돌아감
- 반환 값이 없는 경우 - return;
- 반환 값이 있는 경우 - return 반환 값;
메서드 정의 시 사용했던 반환 값과 타입이 같아야 하며 반환 값이 있는 메서드는 모든 경우에 return문이 있어야 한다.
메서드의 호출
메서드의 호출 방법
참조변수.메서드 이름();
참조변수.메서드 이름(값1, 값2, ...);
class MyMath {
long add(long a, long b) {
long result = a + b;
return result;
}
}
MyMath mm = new MyMath();
long value = mm.add(1L + 2L);
'Java의 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개념 - 7 기본형 매개변수, 참조형 매개변수 (0) | 2022.03.08 |
---|---|
객체 지향 개념 - 6 반환값, 호출스택 (0) | 2022.03.07 |
객체 지향 개념 - 4 선언 위치에 따른 변수의 종류 (0) | 2022.03.03 |
객체 지향 개념 - 3 클래스의 또 다른 정의 (0) | 2022.03.02 |
객체 지향 개념 - 2 인스턴스의 생성과 사용 (0) | 2022.02.28 |